2025년 영유아 보육서비스(보육료, 유아학비, 양육수당) 사전신청 기간이 다가왔습니다. 영유아를 둔 부모님이라면 미리 신청하여 보육료, 유아학비, 양육수당 등의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청 기간과 방법, 유의사항 등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복지로 '사전신청' 서비스는
3월 1일부터 어린이집, 유치원 입소/입학
또는 양육수당 지급이
필요한 경우에 대한 신청입니다.
2월 3일(월)부터 보육료, 유아학비, 양육수당의 사전신청(3월 적용)이 가능합니다.
📅 2025년 영유아 보육서비스 사전신청 기간
신청 방법 | 신청 기간 |
복지로 온라인 신청 | 2025년 2월 3일(월) 09:00 ~ 2월 28일(금) 16:00 |
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| 2025년 2월 3일(월) 09:00 ~ 2월 28일(금) 18:00 |
✅ 온라인 신청 마감 시간은 오후 4시까지이며, 방문 신청은 오후 6시까지 가능합니다.
✅ 2월 28일 오후 4시부터 자정까지는 서비스 신청이 중단됩니다.
사전신청기간
2월 3일 09:00
~
2월 28일 16:00
🖥️ 영유아 보육서비스 복지로 온라인 신청 방법
- PC 또는 모바일을 이용하여 복지로 누리집(https://www.bokjiro.go.kr)에 접속
- 로그인 후 ‘복지급여 신청’ 메뉴로 이동
- 신청 대상 서비스 선택 후 ‘저장 후 다음 단계’ 버튼 클릭
- 작성 유의사항을 확인한 후 신청서 작성
- 신청서 최종 제출
📌 신청 후에는 복지로 > 복지지갑 > 서비스 신청 현황에서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※ 온라인 신청 대상 서비스 선택 시, 사전신청 / 당월신청 구분에 유의해야 합니다.
※ 복지로 사전/당월 신청 시, 아동이 한 명인 경우 하나의 서비스만 선택할 수 있으며, 대상 아동이 둘 이상이고, 변경할 서비스가 다른 경우에는 여러 개의 서비스에 동시 선택이 가능합니다.
※ 복지로에서 온라인신청 작성 시 마지막 단계의 [제출하기] 버튼을 눌러야 신청이 최종 완료됩니다.
▶ 2025년 보육료 유아학비 양육수당 사전신청
▶ 2025년 보육료 유아학비 양육수당 당월신청
❓ 2025년도 보육서비스 사전신청 Q&A
✅ 복지로에서 신청서를 취소할 수 있나요?
- 접수 대기 상태라면 복지로 로그인 후 ‘서비스 신청 현황’에서 직접 취소 가능
- 접수 후 진행 중이라면 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(주민센터)에 방문하여 취소 요청
✅ ‘신청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없습니다’라는 메시지가 뜨는 경우?
- 가구원 목록에 서비스 대상 자녀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 필요
- 자녀 정보가 보이지 않으면 ‘가족구성원 추가’ 버튼을 눌러 입력 후 신청 진행
✅ 부모급여(현금) vs. 양육수당 차이점은?
- 만 0~23개월: 부모급여(현금) 신청
- 만 2세 이상: 양육수당 신청
- 부모급여(현금)는 만 2세 도래 시 양육수당으로 자동 전환됨
📌 부모급여(현금)과 보육료,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는 중복 지원 불가
✅ 사전신청을 못하면 어떻게 되나요?
- 3월 이후에도 보육료(어린이집), 유아학비(유치원) 서비스 신청 가능
- 입소, 입학 일자와 신청일자가 다를 경우 추가 비용(자기부담금) 발생 가능 → 주민센터 문의 후 신청 권장
📍 보육료 및 유아학비 카드 결제 방법
- 어린이집 보육료 문의: 아이사랑 헬프데스크 (1566-3232, 단축번호 1번)
- 유아학비(유치원) 문의: 에듀콜 (1544-0079, 단축번호 5번)
✅ 기존 국민행복카드를 사용 중이라면 새로 발급받을 필요 없이 계속 사용 가능
보육서비스 변경신청 주요 사례
변경신청에 따른 처리기준
2025년 영유아 보육서비스 사전신청 방법 정리의 글
2025년 영유아 보육서비스 사전신청은 복지로 누리집 또는 행정복지센터 방문을 통해 2월 3일부터 28일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사전신청을 통해 보육료, 유아학비, 양육수당 등의 혜택을 빠르게 받을 수 있으니 미리 준비하시길 바랍니다.
📌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거나 거주지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!
➡️ 인공지능과의 일자리 경쟁 -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직업은?
인공지능과의 일자리 경쟁 -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직업은?
인공지능(AI)의 급격한 발전은 우리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 중의 하나입니다. 예전에는 대체되기 어려운 것이라 여겨졌던 고학력, 고소득 일자리마저 AI의 영향권 안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. 이
bigissue01.tistory.com
'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광명시 민생안정지원금 신청 방법 (1인당 10만원 광명사랑화폐) (0) | 2025.01.27 |
---|---|
영광군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및 사용 방법 (최고 100만원) (0) | 2025.01.22 |
서울시 기후동행카드 본사업 시작 "7월 2일부터 소급 환급 신청, 하반기 후불카드 출시 예정" (0) | 2024.06.26 |